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감 없는 부부, 말은 오가지만 마음은 닿지 않는다

by cashflowboss 2025. 4. 17.

공감 없는 부부
공감 없는 부부

 

– 대화 없는 관계 속에서 피어나는 정서적 거리감과 회복을 위한 첫걸음 –


공감이 사라진 부부, 우리는 언제부터 멀어진 걸까?

결혼은 사랑이라는 감정이 삶으로 이어지는 여정입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설렘이었고, 사소한 말 한마디에도 웃음이 피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부부 사이에는 점점 감정을 공유하는 대화가 줄어들고, 대신 침묵과 일상적인 말만 남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바로 ‘공감의 부재’가 있습니다. 공감이란 단순히 말을 듣는 것이 아닌, 그 말의 감정과 맥락을 이해하고 진심으로 반응하는 능력입니다. 그러나 많은 부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의 감정에 점점 무뎌지고, 공감하는 태도 대신 ‘지시’, ‘지적’, ‘무관심’이 자리 잡게 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부부 사이에 정서적 거리감이 깊어졌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배우자의 말에 관심이 없어 대충 대답하거나 피드백이 없다
  • 힘들다고 말해도 “나도 힘들어”라는 반응만 돌아온다
  • 감정을 말해도 “왜 그렇게 예민해?”라는 말로 무시당한다
  • 혼자 있는 것이 편하고, 대화가 부담스럽다
  • 같은 공간에 있어도 각자의 스마트폰을 보며 시간을 보낸다

이런 일상 속의 반복은 결국 부부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을 쌓습니다. 마음을 표현해도 닿지 않는다는 좌절감, 말해봤자 달라지는 게 없다는 체념은, 관계의 균열을 더욱 깊게 만듭니다. 그리하여 물리적으론 가까이 있지만 정서적으론 너무도 먼 관계, 즉 ‘공감 없는 부부’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함께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바꿔야 할까?

공감이 사라진 부부 관계는 절망의 끝이 아니라,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그 변화는 거창한 변화가 아닌, 아주 작은 ‘관심’에서 출발합니다. 공감을 회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난하지 않고 들어주는 연습부터 시작하기

상대가 힘들다고 말할 때, “왜?”라고 묻는 대신, “무엇이 힘들었어?”라고 물어보세요. “왜”는 변명을 유도하지만, “무엇이”는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줍니다. 상대의 이야기를 들을 때 중간에 끊지 말고, 판단 없이 들어주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2. 감정을 표현할 줄 아는 태도 기르기

“화났어?” “기분 나빠?”라는 질문에 “아니, 그냥.”으로 대답하는 일이 많다면, 감정을 억누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감정을 표현하지 않으면 오해가 쌓입니다.
“오늘 회사에서 실수해서 위축됐어.”
“당신이 말할 때 그 말투가 서운했어.”
이런 식으로 자신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말로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3. 소소한 일상에 감사를 담아 표현하기

“오늘 아이랑 잘 놀아줘서 고마워.”
“저녁 준비해줘서 덕분에 편했어.”
작은 일이라도 고맙다고 말하면 상대는 인정받는 느낌을 받습니다. 감사는 공감의 출발점입니다. 서로를 ‘당연한 존재’로 여기기 시작하면 공감은 금세 사라지게 됩니다.

4. 대화보다 더 강력한 ‘눈맞춤’의 힘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누지 못했다면, 눈을 마주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눈을 바라보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정서적인 연결이 살아납니다. 손을 잡거나, 등을 토닥이는 등 비언어적 표현도 공감을 전달하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5. 함께 추억을 만드는 시간 만들기

함께 영화를 보거나, 산책을 하거나, 예전 사진을 꺼내보는 것도 좋습니다. ‘함께’ 무언가를 한다는 것 자체가 감정을 교류하게 해주고, 공감의 장을 다시 열어줍니다. 바쁘더라도 일주일에 한 번은 ‘우리만의 시간’을 정해보세요.


말이 아닌 마음이 닿을 때, 관계는 다시 피어난다

공감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훈련되고 회복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오랜 시간 공감 없이 지낸 부부라 하더라도, 마음을 열고 천천히 다가간다면 다시금 따뜻한 감정의 흐름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상대를 바꾸려고 하기 전에 내가 먼저 변화를 시도하는 용기입니다. “당신이 먼저 들어줘야지”라는 생각은 관계를 고착화시키지만, “내가 먼저 들어볼게”라는 자세는 작은 틈을 만들고 그 틈이 다시 연결의 다리가 됩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해받고 싶다’는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랑했던 사람에게 조차 이해받지 못한다는 고립감은 깊은 상처가 되지만, 반대로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을 이해하려고 애쓴다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됩니다.


마무리하며

공감 없는 부부는 특별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누구나 충분히 그렇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다시 공감을 되찾을 수도 있습니다.
함께 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것.
그 첫걸음은 아주 작은 말 한마디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 어땠어?”
그 진심 어린 한 문장이, 다시금 마음을 이어주는 끈이 될 수 있습니다.